【 앵커멘트 】
정부가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 30곳을 선정해
육성하는 글로컬 대학 사업이
올해 마무리되는데요,
현재 대전, 충남에서는
건양대 한 곳만 선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지역대학들은
마지막 기회를 잡기 위해
획기적인 전략을 마련해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선학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위기에 빠진 지역대학들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글로컬 대학 지원사업은
올해 10곳의 대학을 선정하며 마무리됩니다.
대전과 충남 지역에서 글로컬 대학에
선정된 곳은 건양대 한 곳뿐,
그러다 보니 천안,아산지역 대학들은 학교의
명운을 걸고 총력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난해까지 두 차례나 글로컬 대학
예비 지정 명단에 올랐던 아산 순천향대학교는 의학과 공학 융합모델을 내세워 재도전합니다.
▶ 인터뷰 : 송병국 / 순천향대학교 총장
- "대한민국 최고를 넘어서 아시아 최고의 의료 융합·복합 중심대학이 되고 또 이 아산·천안 지역에 의료 융합 신산업을 통해서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고자 합니다."
호서대는 글로컬대 선정에 도전하며
최근 나사렛대와 통합을 선언했습니다.
두 대학의 장점인 산학협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무기로 중부권 최대 규모의 사립대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 인터뷰 : 강일구 / 호서대학교 총장
- "AI를 주관으로 하는 모빌리티 쪽에 우리가 최근에 많이 힘을 써서 상당히 강력한 내용이 있습니다. 거기에다가 노인들에 대한 대책이라든가 장애우에 대한 이런 배려 같은 거 이런 걸 조금 하면 더 좋겠다."
선문대 역시 지방정부와의 소통과 연계 강화를 내세워 글로컬대학 지정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글로컬 대학이 한 곳도 없는 대전 지역 대학들도 비상입니다.
충남대와 공주대는 일찌감치 국립대간 통합을 내세워 혁신기획서를 준비하고 있고, 목원대와 배재대,대전과학기술대는 3개 대학 연합으로
글로컬 대학 도전에 나섰습니다.
단독으로 글로컬 대학에 도전하는 한남대와
한밭대, 우송대 역시 별도의 팀을 꾸린 뒤,
그동안의 경험을 살려 글로컬대학 선정 심사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충남도와 대전시 등 자치단체들도 지역
대학들이 글로컬 대학에 선정될 수 있도록
지원전략을 마련하고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컬 대학은 5년간 대학당
천억 원이 지원되는
대형 사업으로 교육부는 다음 달 2일까지 혁신기획서를 접수받은 뒤 심사를 거쳐 곧바로 예비 지정 대학을 선정할 계획입니다.
TJB 이선학입니다.
(영상취재 김용태)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