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도시철도 상권 곳곳 계약해지, 부산교통공사 책임은 없나?

기사입력
2025-04-24 오후 8:51
최종수정
2025-04-25 오전 10:25
조회수
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한 때 황금상권으로 불렸던 도시철도 지하상가가 쇠락하면서 계약해지 등 분쟁이 잇따르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부산 도시철도 상권 11곳 가운데 직영을 제외하면 3곳만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라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10월 부산교통공사는 도시철도 상가운영 A업체와 계약을 해지했습니다. 2013년 사업 시작 이후 사용료를 60억원 넘게 체납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업체는 코로나, 버스전용차로 BRT, 장기 경기 침체로 총이익의 60%를 넘게 내는 계약 자체가 불합리하다고 주장합니다. A 업체가 관리하는 상권은 계약해지된 서면 상권을 비롯해 모두 4곳, 초기 공사에 220억원 넘게 투입됐습니다. 업체는 이익 예상치의 30%를 넘으면 초과 이익 사용료를 내는데, 매출이 낮아진 경우에는 별도 조항이 없는 점도 문제라고 말합니다. 이 곳 뿐만 아니라 부산도시철도 전체 상권 11곳 가운데 덕천, 범일, 수영~광안 등 3곳을 제외하고는 계약해지, 체납 등으로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 결국 부산대 등 3곳은 교통공사 직영으로 바뀌었습니다. 부산시의회에서도 교통공사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조상진/부산시의원(건설교통위)/"특별한 BRT(버스전용차로)라든지, 코로나 라든지 소비패턴의 정말 급격한 변화라든지 이런 부분들에 대한 어느 정도 유지가 될 수 있도록 숨통은 틔워줘야 되는데..."} {이병진/부산교통공사 사장/"그게 지금 민간 사업 실시협약에 다 그렇게 돼 있습니다."} 매년 감정평가를 실시해 사용료를 감면해주는 부산시설공단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왔습니다. {송우현/부산시의원(건설교통위)/"부산시설공단 같은 경우에는 감정 평가에 따라 임대료를 매년 갱신을 하거든요. 그런 제도도 검토해주십시오."} {이병진/부산교통공사 사장/"요즘 경기가 안좋다보니까 감평(감정평가) 가격이 내려 버립니다. 그러니 자동적으로 임대료가 내려갑니다, (부산시설공단) 거기는. 그런데 우리는 지금 그런 시스템을 갖고 있지 못합니다."} 지하상권 붕괴는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여 합리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편집 정은희 CG 이선연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