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펀드 가입 시 평균 한 시간 이상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2명 중 1명 이상이 펀드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김미영 금융소비자보호처장 주재로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과 함께 '공모펀드 상품설명 합리화'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금감원이 작년 은행 14곳 및 증권사 14곳의 펀드 가입 관련 상담 시간을 미스터리 쇼핑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약 61.7분이 소요됐습니다.
2023년 벌인 국민인식 설문 결과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약 57%가 펀드 가입 시 상품 설명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가 판매 스크립트 낭독 등 경직적 설명 방식을 유지함에 따라 상품 설명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며 "소비자도 정보 과잉으로 인해 상품 가입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금감원은 실제 펀드 가입 현장에서 소비자와 금융회사 모두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유동하기 위해 설명 합리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금융회사가 설명의 정도와 방식을 조정할 수 있는 정보 종류 및 소비자 유형을 구체화하고, 상품설명서도 가입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 위주로 재구성할 계획입니다.
금감원은 상반기 중 실무 논의를 거쳐 3분기 중 후속 조치를 이행하기로 했습니다.
김미영 처장은 "미스터리 쇼핑 및 국민인식 조사 통해 긴 가입 시간에도 소비자들이 펀드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확인됐다"며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들이 공모펀드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