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하루 앞둔 14일 참사 현장을 찾아 안전 개선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충북 청주시 오송읍에 있는 궁평2지하차도를 방문했습니다.
2년 전인 2023년 7월 15일 집중 호우로 인근 미호강 제방이 터지면서 유입된 물로 이 지하차도를 지나던 시내버스 등 차량 17대가 침수되고 14명이 숨졌습니다.
노란색 민방위복 차림의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환경부와 충북도로부터 당시 제방 붕괴원인 및 침수 사고 경과, 개선사항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지하차도와 인근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이 대통령은 "인력으로만 해결할 게 아니라 구조적·시스템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에 관해 묻고는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나눠서 할 일과 함께할 일을 잘 구분하고 단위별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현장에서 국민의힘 소속인 김영환 충북지사에게 충북의 침수 위험 지역이 어디인지, 저수 용량이 부족한 원인은 무엇인지, 지방 하천과 국가 하천 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 등을 세세히 짚어 물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충북에서 이런 구조적인 재해 위험 지역이 어디냐"는 자신의 물음에 김 지사가 괴산댐을 지목하자 "거기에 해야 할 일이 무엇이냐", "어떤 문제가 있느냐"라고 거듭 질문을 쏟아냈습니다.
이 대통령은 사고 이후 차량 진입 차단 시설과 비상 대피 시설 차수벽,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지하차도 내부를 살피고 "재난 대책 시설물 개선과 재정지원만큼이나 작동 점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 대통령은 핸드레일을 비롯한 시설물을 가리키며 현장 관계자들에게 "원래 있던 시설이냐", "전국 모든 지하차도에 다 설치했느냐", "수동이냐, 자동이냐"라며 '폭풍 질문'을 하고서 전자 감지 시스템 강화 및 시설물 기준을 정해 모든 지하차도에 적용할 것 등을 지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현장을 둘러본 뒤 "앞으로는 관리를 부실하게 해서 인명 사고가 나면,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기준으로 그 책임을 아주 엄중하게 물어야 할 것 같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냥 실수니까? 실수가 어디 있나. 실수하지 않는 게 공직자 의무"라며 "원인 분석을 정확히 하고 사고 책임을 엄정하게 물어서 해야 할 일을 안 해 사람이 죽고 다치는 일은 절대로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현장에서 "관리 부실로 인한 인명 사고는 엄격히 처벌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참사 관련 수사 진행 상황과 관련해 유가족 요구 사항이 없는지도 물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하차도에 흰 국화 다발을 놓고 묵념하며 희생자들을 추모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선 수락 연설에서부터 국민 안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취임 이튿날엔 오송·세월호·이태원 참사 등을 언급하며 예측되는 사고·사건 발생에 대한 엄정 대응 원칙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는 16일엔 세월호·이태원·오송 참사 및 무안 여객기 참사 등 사회적 참사 희생자 유가족을 만나 위로하고 고충과 건의 사항을 들을 예정입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