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역 부동산 경기가 사실상 대책 없는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부동산 정책 실패와 대선 정국 역시 지역 부동산 경기에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길재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월 말 기준 부산과 경남의 미분양 주택은
각각 4천 565호와 5천 88호로, 불과 14개월 전인 2023년 12월과
비교하면 각각 52%와 38%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의 미분양 주택은 단 세 호만
늘어나 크게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지역 건설업계의 위기도 점점 심각해지는 가운데,
부산시의회는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시세를 감면해 주는 내용의
조례 개정에 나섰습니다.
{박중묵/부산시의원/이 조례가 통과되고 나면 (원시 취득세의) 25%를 더 감면해 줌으로써 미분양 주택에 대해서 임대도 유도할 수 있고,
주거 안정 즉 1, 2가구 소가구에 대해서도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 차원의 대책으로는 한계가 뚜렷합니다.
또 서울시가 강남 3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풀었다
재지정한 정책은 지역 부동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서울시 부동산 정책의 실패가 지역 부동산 경기부양책 마련을 위한 타이밍과 명분을 한꺼번에
빼앗았기 때문입니다.
{채상욱/부동산 애널리스트/가격이 오를 거라고 예상되는 곳에 수요가 가는건데요, (서울시 영향으로) 지방 입장에서는 수요를 뺏기는 효과가 생기겠죠. 일부 지방으로 풍선 효과가 있다거나 그런 것도 전혀 아니구요.}
갑작스런 대선 정국 또한 부동산 시장에는 악재입니다.
대선이 다가오면서 정치권 역시 지역 부동산 시장 부양책을 논의할 여유가 없습니다. 관련 입법이나 정부의 대책도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대선 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부동산 정책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돼, 각종 규제의 완화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KNN 길재섭입니다.
영상취재 박언국
CG 이선연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