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비상 계엄 이후 정치권에서 촉발된 개헌 논의가 활발합니다.
개헌 방식과 시점을 두고는 여야간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G1 뉴스에서는 도 국회의원과 도의원을 상대로 긴급 설문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를 최경식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터]
강원자치도 국회의원 8명에게 대한민국 헌법 개정의 필요성에 대해 물었습니다.
/무응답 1명을 제외한 7명 모두 개헌 필요성에 공감했습니다./
/복수 응답이 가능한 개헌 필요 이유로는 '권력 구조 개편'을 가장 많이 꼽았고,
'선거 제도 개편'과 '지방 분권 강화',
'대통령 권한 축소'와 '5·18 정신 계승' 등의 순이었습니다./
/현행 대통령 5년 단임제 찬반을 묻는 질문에는 '4년 중임제' 요구가 단연 많았습니다./
/다만 여야간 갑론을박이 거센 개헌 시점에 대해선 의견이 다소 엇갈렸습니다.
6월 조기 대선 3명, 차기 정권 2명, 내년 지방선거 2명으로 나뉘었습니다./
◀브릿지▶
"도의원 49명 중 무응답 5명을 제외한 44명의의원들도 대부분 도내 국회의원들과 비슷한 의견을 보였습니다."
/도의원 응답자 44명 중 42명이 개헌 필요성에 공감했고, 1명은 잘 모르겠다, 다른 1명은 개헌 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복수 응답이 가능한 개헌 필요 이유로는 국회의원들과 마찬가지로 '권력 구조 개편'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대통령 권한 축소', '선거 제도 개편' 등의 순이었습니다./
/현행 대통령 5년 단임제 찬반을 묻는 질문에는 '4년 중임제' 요구가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끝으로 적절한 개헌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6월 조기 대선이 34명으로 가장 많았는데,
도의회에서 절대 다수당을 차지한 국민의힘 여론이 많이 반영된 걸로 풀이됩니다./
도 국회의원과 도의원들도 개헌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방식과 시기를 놓고는 이견을 보였습니다.
G1 뉴스 최경식 입니다.
(영상취재 박종현 / 디자인 이민석)
< copyright © g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